Git (4) 썸네일형 리스트형 [Git] UnrealEngine Github 초기설정 UnrealEngine 4.26버전 기준입니다 GitHubDeskTop과 Git의 다운로드가 선행되어야합니다 [소스 컨트롤] -> [소스 컨트롤에 접속] 제공자를 Git 베타버전으로 설정해줍니다 Git로 프로젝트 초기화를 눌러준다음 새로뜨는 창도 세팅 수락을 눌러줍니다 여기까지해주었다면 이제 저희 프로젝트 폴더에는 .git 파일과, .gitignore 파일, README.md 파일이렇게 3개가 추가된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Github DeskTop을 실행시켜 [File]->[Add local repository]를 통해 저희의 프로젝트 폴더를 깃허브에 올려보겠습니다 저희 깃허브에 올릴 프로젝트의 .git폴더가있는 최상위 경로의 위치를 Lcal path의 경로로 지정해줍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Publ.. [Git] warning: LF will be replaced by CRLF 유니티로 깃허브 연동하려하는데 add 과정에서 해당 오류가 발생하였다 해당오류는 서로 다른 OS개발자들이 git협업시 발생하는 whitspace(여백) 오류라고 한다 유닉스 시스템에서는 한 줄의 끝이 LF(Line Feed)로 이루어져있고, 윈도우는 줄 하나가 CR(Carriage Return)(/r)과 LF(Line Feed)(/n) CRLF로 이루어져있기때문에 발생하는 오류라고합니다 해결방법은 아래보이는 명령어를 입력하면됩니다 해당 프로젝트만 적용하기를 원한다면 --global 명령어를 삭제하면됩니다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true git config core.autocrlf true 저는 뭘 잘못쳤는지 모르겠지만 --global 명령어를 빼고 했었는데 계속오류가.. [Git]Github CMD 주요 사용 명령어 정리 git init 로컬 저장소를 생성하는 명령어 입니다 해당로컬저장로를 통해 .git 폴터가 생성됩니다 git status 해당 디렉토리와 스테이징 영역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총 3가지 영역을 확인 할 수 있는데 Changes to be committed : 스테이징 영역에 넘어가 있는 변경 내용을 보여줍니다. Changes not staged for commit : 아직 워킹 디렉토리에 있는 변경 내용을 보여줍니다. Untracked files : 아직 워킹 디렉토리에 있는 아직 한 번도 해당 Git 저장소가 관리한 적이 없는 새로운 파일을 보여줍니다. git add 디렉토리의 변경내용을 스테이징 영역으로 옮길 때 사용합니다 git add [파일경로] : 파일경로의 변경내용을 스테이징 영역.. [Git] git 그리고 github 초기 설정 저는 공부하고 있는 컴퓨터에 이것저것이 많이 깔려서 복잡해질 때마다 컴퓨터의 주요 내용들을 정리해서 E 드라이브에 저장한 후 컴퓨터를 포맷하여 정리하여 사용하곤 했습니다 그중 제가 좋아하는 노래를 모아둔 음악파일은 지금까지 모아 둔 많은 양의 음악들 때문에 듣고 싶었던 음악을 찾으려면 한참을 뒤져가며 찾아야 했습니다 그리고 컬렉션 모으듯이 모아둔 노래들은 막상 들어보면 별로 좋지 않았거나 이전에 들었던 노래를 찾는데 많은 시간이 들곤 했습니다 우리는 개발을 하면서 버전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무언가를 추가하고 수정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런 과정 속에서 이전의 방식이 더 좋다 라고 판단될 때나 뭔가 꼬여서 이전의 버전으로 돌아가서 다시 개발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 때가 있습니다 git은 단순히 우리가 만든 .. 이전 1 다음